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랫배 원인과 아랫배 빼는 현실적인 5가지 방법

반응형

전문가들은 성인 기준 남자는 35인치, 여성은 33.5인치 이상이면 복부 비만이라고 합니다. 살이 찌면 아랫배도 나옵니다. 하지만 팽팽하거나 콕콕 쑤시는 통증이 동반되면서 아랫배가 볼록하게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독 아랫배만 나온다면 원인을 살펴봐야 합니다.  

아랫배가 나오는 이유를 알아보고 현실적으로 아랫배를 빼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사진: Unsplash 의 Towfiqu barbhuiya


■  아랫배 원인
1. 바르지 못한 자세

다리를 꼬거나 허리를 굽어서 장시간 앉는다면 골반이 틀어지게 됩니다. 자세가 올바르지 못한 사람들의 경우, 아랫배가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못된 자세는 상체의 균형을 틀어지게 하고, 이는 지방층이 잘 형성되게 합니다. 아무리 운동을 해도 잘못된 자세를 지속하면 살을 뺄 수 없습니다. 평소 본인의 자세를 체크하고 관리를 해야합니다.  

2. 변비

화장실을 다녀와서 잔변감이 있거나 3일 이상 화장실을 못갔다면 변비에 해당합니다. 설사를 하는 경우에도 잔변감이 있다면 변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변비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보통은 음식과 스트레스로 인해  생깁니다. 아랫배가 불룩하면서 빵빵하고 콕콕 쑤시는 기분이 든다면 변비일 확률이 높습니다.  

3. 체지방 및 내장지방

전반적으로 살이 쪄서 아랫배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특히나 아랫배는 내장지방이 쌓이는 곳이기 때문에 지방을 쌓이면 이 부분에도 살이 축적됩니다.  

주요 원인은 운동부족, 식습관, 스트레스 등입니다.  

4. 여성질환

간혹 여성질환으로 인해서 아랫배가 나올 수 있습니다. 갱년기 여성의 경우 완경(폐경)으로 인해 여성호르몬 수치가 변하는 데, 이로 인해 아랫배가 나오기도 합니다.  

자궁 내 근종이 있거나 자궁내막증 등 질병이 생겨도 아랫배가 나옵니다. 아랫배가 나오면서 통증이 심하다면 산부인과 방문을  해야합니다.  

■ 아랫배 빼는 방법

아랫배가 나오게 된 원인을 잘 체크해야 합니다. 특히나 여성질환이 원인이라면 병원을 내원해야 합니다. 질환이 아니라면 아래 방법들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물 많이 마시기

가수 미나는 50대가 되면서 아랫배 관리를 위해 이전보다 물을 2배 이상 먹는다고 합니다. 물은 체지방 감소와 독소 배출에 도움을 줍니다.  

2. 스트레칭 하기

바르지 못한 자세로 장시간 서있거나 앉아 있으면 골반이 돌아가게 되고 골반이 뒤로 돌아가는 자세, 골반 전방경사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자세는 엉덩이가 발달되어 보이고 복부 운동을 아무리 해도 아랫배가 나와 보입니다.  

골반을 재위치로 돌리는 스트레칭이 필요합니다. 허벅지 앞 쪽 부분과 골반 부위의 장요근이 늘어나는 느낌이 들때까지 스트레칭을 해줘야 합니다. 매일 30초씩 3세트를 해준다면 전방경사 교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굶지 않기

몸에 좋은 음식을 먹어야 합니다. 정제 탄수화물을 멀리하고 끼니마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당근, 브로콜리, 당근 등을 먹으면 좋습니다.  

4. 바른 자세로 앉기

평소 다리를 꼬지 않고 허리를 곧게 세우고 앉는 것이 중요합니다. 앉는 자세만 교정 해줘도 2kg 감량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합니다.  

5. 간단한 운동하기

근력운동을 통해 복부 근육을 단련해야 합니다. 복직근이 강화되면 복부가 탄탄해집니다.   

추천 운동으로는 우선 드로인 운동이 있습니다. 드로인 운동은 평소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습니다. 서있거나 앉아 있을 때  허리를 곧게 펴고 배꼽이 등에 닿는다는 느낌으로 배를 집어넣고 30초 정도 유지하면 됩니다. 이때 가슴과 허리가 너무 신전되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레그레이즈니다. 천장을 보고 누운 상태에서 꼬리뼈를 바닥으로 붙여 줍니다. 꼬리뼈를 바닥에 붙이려면 약간 오리엉덩이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두 다리를 천장 쪽으로 뻗고 아랫배의 힘으로 다리를 내립니다. 이때 다리의 힘이 아닌 배의 힘으로 내려줍니다. 마치 배꼽아래 점이 있는 데 이것을 배꼽 가까이에 옮겼다가 다시 늘렸다가 하는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반응형